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인류에게 이동의 문제는 끊이지 않는 도전과제인 것 같습니다. 걷는 것 보다는 가축의 힘을, 가축을 넘어서 기계의 힘을 빌리는 식으로 해서 인류의 발은 세대를 거듭할 수록 진화 하였습니다만, 그 발을 움직이는 두뇌의 진화는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이제 인류는 이 두뇌까지 진화시켜 기계의 힘을 입으려 합니다. 바로 자율주행을 통해서 말이죠. 하지만 이것을 곧바로 구현하는 것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늘 그래왔듯이 작은 변화와 함께 단계를 거듭하며 이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것이 옳은 과정일 것입니다.

 

https://news.hmgjournal.com/Tech/자율주행-기술-레벨-6단계

 

자율주행 기술의 6단계

레벨0부터 레벨5까지 자율주행 기술의 단계별 분류를 설명해 드립니다.

news.hmgjournal.com

위의 아티클은 이를 잘 설명하였습니다. 이것을 잘 읽어보신다면 자율주행이 추구하는 목표가 무엇이고 현재 어느 단계까지 발전해왔는지에 대한 추이를 아는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Posted by 용매니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584&aid=0000008506

 

서울대·SKT·SK하이닉스·텔레칩스·ETRI 등 28개 산학연 AI 반도체로 뭉쳤다

SK텔레콤과 SK하이닉스, 서울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비롯한 국내 기업과 대학, 연구소들이 인공지능(AI) 생태계 핵심인 AI반도체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공동 연구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news.naver.com

전자산업의 쌀 이라고 불리우는 반도체가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습니다. 바로 AI 연산에 최적화된 AI 반도체의 등장을 의미하는데요. 반도체 강국답게 산학연의 공동 연구를 통해 AI 반도체를 통한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리더가 되는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Posted by 용매니저

Zigbee 쓰는가

4 산업혁명, IOT, IOE 같은 용어들 사이에서 핵심이 되는 기술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는 프로토콜일 것이다. 여기서 프로토콜이란 통신방법의 명세를 의미한다. 이들은 여타의 설계과정과 마찬가지로 요구사항을 받고 개발이 되었다. 특히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 갖춰야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 다양하고 많은 device간의 data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 사물간의 통신은 real time 보장받을

· 저전력으로 동작할

· 저가로 제작이 가능할

엔지니어들이 노력한 결과, 위의 사항들을 만족하는 많은 통신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통신 기술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ZigBee

IEEE 802.15.4 기반

노드가 라우팅 기능을 내재해 릴레이 기능 가능

전송거리 : 10 ~ 100

ANT

저전력으로 센서간 무선 통신

자전거, 헬스케어 디바이스, 스포츠 센터 등에서 사용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산업 표준

IEEE 802.15.1 기반

2.4GHz 주파수 대역 사용

산업전반에 걸처 가장 범용적인 프로토콜 하나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기술 하나. (접촉식)

전송거리 : 4cm 이내

데이터 교환 가능

Zigbee 모듈의 모습.

PART 1 - About Zigbee

What is Zigbee?

 

1. IEEE 802.15.4-2003 프로토콜에 관하여

Zigbee IEEE 802.15.4-2003 protocol 기반으로 무선 통신기술이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토콜이 갖는 특징들을 그대로 가지게 되었다. 결국 Zigbee 이해하기 위해서는 IEEE 802.15.4-2003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1) Features

. 저전력이다.

. 연결 장치 수가 많다

. 저렴한 제조단가를 추구한다.

. 제조사 마다 Energy detection 사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을 구성시킬 있다. 

 

2) Protocol layout

 

 

여타의 통신들과는 다르게 프로토콜의 스택이 매우 간단한 것을 확인할 있다. 이는 설계와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있다. Upper layers 추상화의 개념에서   개념이다. IEEE 802.15 활용하더라도 아래계층을 직접 구현하지 않도록 하여 엔지니어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설계과정에서의 효율성 증대를 기대할 있다.

2. Zigbee??

Zigbee 위에서 보았던 802.15.4 프로토콜을 기반으로하여 개발된 통신 방법으로써 저전력, 저가의 장비 개발에 적합한 통신 기술이다. Zigbee 구성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Zigbee 표준 = IEEE 802.15.4 표준 + 네트워크 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1) Specification

· 최저전력 : 100mW 미만 저전력 동작이 가능하다.

· 통신거리 : 100미터 정도 통신거리가 여타 근거리 무선통신에 비하여 편이다.

· 통신주파수 : 2.4GHz (16채널) , 915MHz (10채널) , 868MHz (1채널) 

· 데이터 전송속도 : 250Kb/sec 속도가 느린편

 

2) the field of use

Zigbee 많은 디바이스간의 통신이 필요한, 그리고 저전력과 저비용을 요구하는 IOT 분야에 있어서 두각을 나타낸다. 이에 따른 사용처는 다음과 같다.

· IOT 분야(화재 경보기, 엔터테인먼트 제어)

· 스마트 팩토리(프로세스 통제, 재고 자재 관리, 공정 모니터링)

· 보안 솔루션(침입경보 시스템, 도난방지 시스템)

 

3) How to Zigbee works

Zigbee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는 크게 가지가 존재한다.

Coordinator, Router, End device 각각의 디바이스는 서로 긴밀하게 협약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된다. 디바이스들의 특징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oordinator

Router

End device

 

역할

·  네트워크를 만든다

·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넓히고 자식노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  아주 간단한 기능의 제한된 프로토콜의 저전력 장치들을 지칭한다

특징들

·  1개만 네트워크에 존재

 

·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함

 

·  다른 노드로 데이터 Routing가능

·  Mesh Tree 네트워크 상에서 Routing 담당

 

·  선택적인 구성요소임

 

·  네트워크 범위를 넓힘

 

·  자식노드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해제하는 역할을

 

·  자식노드들의 통신속도를 조절함

·  저전력에 최적화 되어 있음

 

·  센서 등의 장치는 End device 구현되어야

 

·  오직 부모 노드와만 통신

 

·  다른 노드와는 연결될 없음

 

4) Networking topology 따른 디바이스들의 구성도 

                                                                   노드 색상별 디바이스

                                                                  Yellow symbol = Coordinator

                                                                  Blue symbol = router

                                                                  Red symbol = End device

 

디바이스들의 특징대로 토폴로지가 구성되어 있음을 있다.. 토폴로지 마다 Coordinator 하나씩 존재하며, 모든 노드의 끝은 End device 이루어져 있다.

:
Posted by 용매니저

AI를 활용한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전공자에게 AI는 여전히 활용하기 어려운 분야라 생각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글, 아마존과 같은 거대 기업들이 AI에 관한 깊은 지식 없이도 얕은 수준의 AI를 활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내놓았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딥러닝에 관련한 프레임워크 두 가지를 선보이려 합니다.

 

1. 텐서플로우(구글)

텐서플로우는 구글에서 선보이는 딥러닝 오픈소스 프레임 워크 입니다. 폭넓은 사용자 층과 Python으로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라이브러리가 매우 풍부하며 커뮤니티의 활성화 정도가 매우 높습니다. 성능 또한 뒤지지 않기에 연구, 실험에 있어서 선호되는 프레임 워크이기도 합니다. 알파고의 연산에서도 해당 프레임워크가 적용될 정도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구글에서 지원을 하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텐서플로우를 활용한 프로젝트 제작시에 타 프로젝트와의 호환성이 높다는 점 역시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다만,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개발 능력이 떨어진다는 단점 또한 존재합니다.

 

2. 파이토치(페이스북)

파이토치 또한 거대 기업인 페이스북에서 만든 딥러닝 프레임워크 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Python 개발이 가능한 프레임워크로써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텐서플로우에 비해 개발 난이도가 낮아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텐서플로우와 마찬가지로 페이스북이라는 거대기업에서 밀어붙이는 프레임워크 이기 때문에 개발환경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구체적인 활용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과, 사용자수가 많지 않아 예제나 라이브러리가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
Posted by 용매니저

1) 반도체 용어 이름을 기재하세요

Ellipsometer

* 용어는 가급적이면 기존 스터디원이 작성하지 않은 개념 위주로 부탁 드립니다 :D

 

2) 해당 용어는 어떤 개념에서 사용되나요? (예시 : 공정개념 / 소자개념)

소자개념

 

3) 해당 반도체 용어의 뜻을 기재해주세요


물질의 표면에 공이 반사할 때 편광 상태의 변화(입사와 반사)를 관측하고, 그로부터 물질에 관한 정보를 구하는 방법이다. si 반도체 소자보다는 화합물 반도체 소자의 박막 두께를 알고 싶을 때 사용하는 장비이다.



단파장 ellipsometer는 측정 정수가 좋지 않고, 막 두께가 100옹스트롱 이하일 때는 측정이 힘드므로 주로 편광 ellipsometer를 사용한다.

 

4) 혜택을 받을 이메일 주소를 기재해주세요(반도체 기출용어집 제공)

dmsgml9964@naver.com

[출처] [반도체 공정] Ellipsometer (이취사-이공계취업,반도체,8대공정,자동차,디스플레이,삼성,ASML) |작성자 직무반도체4기 최은희

:
Posted by 용매니저

Q) Ellipsometer?

A) Ellipsometer란 물질의 표면에 광이 반사할 때 편광 상태의 변화(입사와 반사)

관측하고, 그로부터 물질에 관한 정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Q) Ellipsometer로 측정하면 무엇을 알게 되는가?

 

 

재료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1A~5mm 막까지 계산이 가능합니다.

 

 

Q) Ellipsometer의 원리는?

 

 

 

Q) 왜 단일 파장 Ellipso가 아닌,

분광 Ellipsometer가 필요할까요?

 

태그#호리바#호리바이과학#반도체#반도체제작#SEMI#세미콘#박막두께#박막두께측정#반도체공정#Ellipsometer

[출처] Ellipsometer 이해하기 <1>|작성자 호리바 과학돌이

:
Posted by 용매니저